2017 독서 Best 3

2017년에는 박사과정 시작하면서 독서량이 급감해 23권 정도 읽는 데 그쳤다. 세 권만 뽑아 보면 다음과 같다.

1. 폴 칼라니티, 『숨결이 바람 될 때』.
죽음을 앞둔 의사가 기록한 자전적 생애사. 유려한 문장, 분명한 사유, 따뜻한 마음이 담겨 있다. 개인적 경험을 정리하는 데 막대한 영향을 주었다.

2. 로버트 고든, 『미국의 성장은 끝났는가』.
2017 최고의 경제서. 생산성 회의론의 대표 주자인 저자가 어마어마한 내공을 선보인다. 2016 최고의 책이었던 『교육과 기술의 경주The Race between Education and Technology』와 함께 읽으면 최근의 성장 담론을 효율적으로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3. 김승섭, 『아픔이 길이 되려면』.
이미 여러 매체에서 올해의 책으로 선정되었으니 설명은 불필요하다. 한 마디만 보태자면, 내가 고등학생 때 이 책을 읽었다면 사회역학자를 꿈꾸었을 것 같다.

Honorable Mention: 상반기만 해도 이언 모리스의 『가치관의 탄생』이 꽤 높은 순위를 차지했지만 결국 2, 3에 밀렸다. 내가 빅 히스토리를 그리 선호하지 않는 것도 한 이유겠다.

대니 로드릭, 그래도 경제학이다, 2016.

대니 로드릭, 그래도 경제학이다, 2016.

 

경제학을 위한 변명, 경제학을 위한 고언, 경제학 회의론에 대한 진지하고 친절한 응답. 또는 경제학자 사용설명서.

경제학을 변호하려면 경제학을 잘 알아야 한다. 경제학자들에게 고언을 건네려면 경제학을 더욱 잘 알아야 한다. 그러나 경제학 자체를 논하기 위해서는 한 걸음 떨어져 볼 줄도 알아야 한다. 이들 기준을 만족하는 사람은 드물지만, 저자 대니 로드릭 교수는 이 기준을 모두 만족시키는 소수의 학자 중 한 명이다. 그는 탁월한 연구자로서 학계의 연구 성과는 물론 경제학자들의 생리를 잘 알고 있다. 동시에 그는 (그가 본문에서 밝히듯) “비정통적인” 입장을 견지하는 학자이기도 하다.

로드릭 교수는 능숙하게 질문을 분류하며 책을 시작한다. 하여 이 책은 다음의 질문과 그 대답으로 요약된다. 경제학자들은 왜 모형을 사용하는가? 완전경쟁시장을 위시한 표준모형은 경제학의 유일한 보편모형인가? 언제 어떤 모형을 사용하는가? 왜 “이론”이 아닌 “모형”인가? 경제학의 실패는 모형의 실패인가? 경제학 비판은 타당한가? 모형으로 시작해서 모형으로 끝난다고 여겨지면 맞다. 경제학 비판이 대부분 (수리)모형과 모형화에 집중되어 있으니 어찌 보면 당연하겠다.

이들 질문에 답하며 드러나는 저자의 핵심 주장은 경제학이 모든 환경에 적용되는 일반이론보다는 다양한 모형의 집합이며, 그를 지향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주장은 이론의 지향과 정면으로 배치된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이론은 본디 보편을 지향한다. 케인스의 저 유명한 저서 제목 역시 <일반이론>이 아닌가? 그는 학계 바깥에 가장 널리 알려진 주제 두 가지를 사례로 든다. 거시경제학 학파 논쟁과 미국 불평등 원인 논쟁이 그것이다.

케인지언-새고전학파 논쟁이 일반 대중에 소개될 때면 흡사 무협소설처럼 학파 간 대립과 논쟁의 승패가 부각되는 경우가 많다. 로드릭 교수는 다른 관점으로 거시경제학 논쟁사 – 또는 발전사 – 를 요약한다. 그는 한 쪽의 우월성을 역설하기보다 두 학파의 소산을 상황에 따라 꺼내 쓸 수 있는 서로 다른 두 모형으로 소개한다. 황희 정승 식의 뻔한 이야기가 아니다. 저자는 먼저 이들 이론이 모든 상황·모든 시대에 적용되는 일반이론으로 발돋움하는 데 실패하였다는 점을 명확히 한다. 그러나 방점은 “실패”에 있지 않다. 그는 이들이 특수한 환경 하에서는 여전히 유용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가령 케인즈 경제학은 1970년대에 그 한계를 드러냈으나 여전히 유용한 시사점을 가지고 있다. 새고전파 모형은 거시경제정책 운용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이러한 관점 하에서 경제학자들의 소임은 경제의 현 상태가 두 모형의 가정 중 어느 쪽에 들어맞는지 파악하여 더 적절한 쪽을 택하는 것이다. 이 논지는 사회과학으로서 경제학이 탐구하는 대상이 고정불변의 항구적 질서가 아니라는 점에서 거부하기 어렵다. 물론 경제학자들이 늘상 싸우는 모습을 보노라면 아무래도 공자님 말씀처럼 들릴 수는 있겠다. (가령 트럼프 감세안을 두고 Summers-DeLong-Krugman, Mulligan-Mankiw-Cochrane 등이 벌인 키배)

불평등은 어떤가? 여러 학자들이 1970년대 중반부터 심화된 미국 불평등의 원인을 규명하려고 노력했다. 세계화와 국제무역에 의해 비숙련 노동자 임금이 하락했다는 설명이 먼저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 설명은 숙련 노동자 임금 상승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했다. 이에 숙련편향적 기술진보 (Skill-Biased Technological Change, SBTC) 가설이 제시되었다. 이 이론은 불평등 확산을 설명하는 데 매우 유용했으나 역시 전부는 아니었다. 학자들은 정책 및 제도적 요인을 추가로 감안하여 불평등을 설명했다.

즉, 다시, 모든 것을 포괄하는 이론이 아니라 한 번에 하나의 인과 메커니즘을 식별하는 일군의 모형이 동원된 것이다. (로드릭 교수는 “역사를 볼 때, 자본주의의 보편적인 법칙을 발견했다고 주장하는 이론가들은 성공적이지 않았다.”고 쓴다. 『21세기 자본』에서 “자본주의의 제1, 2 기본법칙”을 제시한 토마 피케티 교수를 에둘러 디스한 것일까? 한편 인적자본과 대체탄력성이 최근의 성장-분배 논의에서 그나마 가장 포괄적인 틀로 쓰이고 있는 것 아닌가 한다.)

이외에도 저자는 지난 30년간 경제학의 변화, 경제학자들이 가진 편향 등을 학계 내 인물로서 정확하고 공평하게 쓰고 있다. 학부생 시절 이 책을 읽을 수 있었다면 좋았을 것이다. 경제학에 대한 회의가 확신으로 바뀌기까지 나는 숱한 책과 강의 사이에서 헤맸다. 로드릭 교수는 내가 고민했던 문제 대부분을 친절하고 명료하게 설명한다.

경제학의 옹호자들과 비판자들, 또는 경제학자와 비경제학자 모두가 참조할 만하다. 굳이 분류하자면 비경제학자들을 위한 책이지만, 경제학을 안다면 매우 재미있게 읽을 수 있다. 특히 에필로그의 <20계명>에는 경제학자 특유의 유머가 살아 있다. 경제학이 비전공자와 대중들에게 지나치게 매도되고 있다고 생각하는가? 이 책을 읽으라. 경제학자들이 지나치게 거들먹거린다고 생각하는가? 이 책을 읽으라. 무턱대고 읽으라고 하는 경제학도가 재수없는가? 그럼, 이 책을 읽으라.

함께 읽으면 좋은 책으로 『시티즌 경제학』(토머스 소웰Thomas Sowell, 2002), 『더 나은 세계화를 말하다』(대니 로드릭, 2011),『99%를 위한 경제학』(김재수, 2016)을 권한다.

덧. 이 책에는 2014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장 티롤의 에피소드가 하나 실려 있다. 노벨상 수상자로 지명된 후 티롤 교수에게 수많은 기자들이 몰려와 그의 기여에 대해 설명해 달라고 했다고 한다. 티롤의 대답은? “나의 기여를 짧게 요약하기는 쉽지 않은데요.” 로드릭 교수는 이 일화를 경제학 연구 결과가 상황과 환경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을 강조하는 차원에서 제시했지만… 박사과정 1년차 학생인 나로서는 티롤의 끝없는 논문 목록이 생각날 뿐이다. 암요, 요약하기 힘들고말고요.

덧2. 사실 경제학이 일반이론을 지향하기보다 모형의 다양성을 지향해야 한다는 주장은 수긍이 되면서도 살짝 아쉽다. 우리는 Grand Theory를 안 찾는 것일까? 못 찾는 것일까? 못 찾는다면, 사회과학으로서의 본질적 한계 때문인 것일까? 문득 물리학에도 양자역학과 고전역학의 갭이 있다는 생각이 든다. 그냥 두서없는 이야기.

덧3. 원제와 역제의 뉘앙스가 상당히 다르다. “Economics Rules”와 “그래도 경제학이다”. 드물게도 둘 다 마음에 든다.

 

Diagnosing the Italian Disease (NBER w23964)

Zingales가 이탈리아 경제 관련 워킹 페이퍼를 냈다.

Diagnosing the Italian Disease

We try to explain why Italy’s labor productivity stopped growing in the mid-1990s. We find no evidence that this slowdown is due to trade dynamics, Italy’s inefficient governmental apparatus, or excessively protective labor regulations. By contrast, the data suggest that Italy’s slowdown was more likely caused by the failure of its firms to take full advantage of the ICT revolution.

이탈리아 노동생산성은 90년대 중반 이후 20년간 답보 상태다. 이걸 흔히 “이탈리아병” 이라고 부르는데, 왜일까? 오늘의 NBER 워킹 페이퍼, Pellegrino and Zingales (2017)는 이 문제를 살펴본다. 논문(사실 저널 논문보다는 정책보고서에 가까워 보인다.)에 따르면…

지난 96년부터 06년까지, 이탈리아의 1인당 노동생산성은 연간 0.5% 성장하는데 그쳤다. 옆 나라 독일의 1.7%, 미국과 일본(!)의 2%에 크게 미달하는 수치였다. 세계 금융위기 이후 사태는 더 심각해졌다. 96년 이래 10년간 이탈리아에는 재정위기도, 심각한 정치적 불안 상황도 없었다.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이탈리아가 여타 선진국에 비해 제도적으로 뒤떨어진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제도적 요인을 들어 갑작스레 생산성 성장이 멈춘 이유를 설명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그런 제도적 요인은 이탈리아가 유럽 평균을 훨씬 웃도는 경제성장을 이룩한 50-60년대에도 존재했다. 제도적 요인으로 이 문제를 설명하려면 적어도 “생산성 성장의 제도의존성”을 심화시킨 계기를 찾아내야 한다.

저자들은 네 가지 가설을 수립하여 차례로 검증한다. 네 가지 가설이란 다음과 같다. 1) 중국의 대두로 인한 수요충격 2) 이탈리아의 악명 높은 노동경직성 3) 90년대 이후 급전직하한 정부 수준(government quality) 4) 역시 90년대 중반 이후의 “정보통신기술 혁명(ICT revolution)” 대응 미비.

분석 결과 중국 제품 수입에 노출된 부문의 기업에서 생산성이 하락했다는 증거는 없었다. 놀랍게도 노동경직성이나 정부 수준 역시 생산성 성장 중단을 야기한 요인은 아니었다. 문제는 ICT다. 정확히 말해 ICT자본이 부족한 것은 아니며, 문제는 제대로 활용되고 있지 않다는 데 있다. 왜일까?

저자들은 이탈리아 기업의 인사제도가 능력주의와 거리가 멀다는 점을 이유로 든다. 이탈리아에서는 능력이 뛰어난 사람보다는 조직에 충성하는 사람에게 보상이 돌아간다. 사법이 비효율적으로 집행되며 탈세·뇌물이 만연한 환경에서는 (조직 입장에서) 능력주의에 비해 이런 보상체계가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충성도를 기준으로 하는 인사시스템은 ICT 시대에 부적합하다. 생산성 정체 현상은 이에 따른 비효율성이 수치로 나타난 것이다. 한편 통념과 달리 CEO 평균연령이나 임시직 노동자 비율은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한줄요약: 그러니까 족벌주의(familyism)와 정실주의(cronyism)가 문제라는 말이 되겠다. 내 표현이 아니다. 저자들이 이렇게 썼다.


ICT라는 단어가 들어가서 그런지 흔한 정책보고서 느낌이지만, 내용이 왠지 모르게 친숙해서 가져와 보았다. 노동경직성이 반드시 낮은 노동생산성을 유발하지는 않는다는 설명이 눈길을 끈다.
그림은 국가/기업의 능력주의 지수. 국가 단위(수직축)와 기업 단위(수평축) 수치가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가운데 이탈리아는 당당히 둘 다 바닥을 치고 있다.

Diagnosing the Italian Disease (NBER w23964)

The Productivity Slowdown and the Declining Labor Share: A Neoclassical Exploration (NBER w23853)

1년차 때 논문 열심히 읽으면 망한다(..)는 얘기를 많이 들었다. 그래서 요즘은 감 잃지 않게 NBER 메일링 받으면서 출퇴근길에 초록만 훑어본다. 그런데 이번 주에 나온 페이퍼가 눈길을 끌었다.

The Productivity Slowdown and the Declining Labor Share: A Neoclassical Exploration

We explore the possibility that a global productivity slowdown is responsible for the widespread decline in the labor share of national income. In a neoclassical growth model with endogenous human capital accumulation a la Ben Porath (1967) and capital-skill complementarity a la Grossman et al.

주제도 주제고, 저자진도 휘황찬란하다. Gene Grossman (Princeton), Elhanan Helpman (Harvard), Ezra Oberfield (Princeton), Thomas Sampton (LSE). 차마 초록만 읽고 넘어갈 수 없어서 서론과 결론 정도 더 읽어 보았다(???). 논문의 핵심은 생산성 증가율이 하락하면 요소소득이 노동에서 자본으로 옮겨가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저자들의 칼리브레이션에 따르면 대략 생산성증가율 1%p 하락할 때마다 자본소득분배율이 2~6%p 올라간다(당연히 노동소득분배율 하락). 이 결과는 현재 관찰되는 미국 노동소득분배율 하락을 절반에서 전부 설명한다.

The Productivity Slowdown and the Declining Labor Share: A Neoclassical Exploration (NBER w23853)
γL, γK는 각각 노동/자본생산성증대 기술진보율, a는 생산함수의 모수.

 

논리는 대충 이렇다. 경제성장률이 하락하면 실질이자율이 하락하고, 사람들이 교육을 더 받기로 선택한다. 이는 노동-자본 대체탄력성이 비탄력적일 때 (자본-인적자본 보완관계에 의하여) 기업의 자본상대수요를 증가시킨다. 다시 말해 주어진 labor expense 하에서 자본소득분배율이 상승한다는 것. 다만 아직 인과를 말할 단계는 아니라고 거듭 강조한다.

솔직히 무엇이 새로운 것인지는 잘 모르겠다. 대가들이 흔히 하듯 간단한 모형으로 디테일한 논의를 전부 엮어낸 느낌인데(전형적인 “참 쉽죠?”) 관련 참고문헌을 다 읽을 수도 없고. 저자들이 제시하는 셀링 포인트 중 하나는 대체탄력성 실증분석 결과가 분분한 이유를 설명한다는 것이다. 피케티 21세기 자본 논쟁에서도 문제시되었던 바로 그 대체탄력성 맞다. 저자들에 따르면 몇몇 실증연구에서 대체탄력성이 1보다 큰 이유는 인적자본 선택을 감안하지 않아서 그렇다는 것. 국가간 데이터를 이용한 연구가 특히 이 문제에 취약하다. 이 모형은 (쉽게 짐작할 수 있듯이) 인적자본선택을 내생화해서 이 문제를 해결하는 한편 대체탄력성이 1보다 작아야 한다는 이론적 결론을 재확인한다.

아무튼 대충 그렇다. 정리를 다 하진 못하겠다.

초록을 옮기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진은 세계적 생산성 둔화 현상이 노동소득분배율 하락을 야기할 가능성을 탐색한다. Ben Porath (1967) 식 내생적 인적자본축적, Grossman et al. (2017) 식 자본-숙련 보완관계를 추가한 신고전파 성장모형에서, 균제상태(steady-state) 노동소득분배율은 자본생산성 증대(capital-augmenting)·노동생산성 증대(labor-augmenting) 기술진보율과 정의 상관관계를 갖는다. 戰後 미국 데이터를 이용해 칼리브레이션한 결과 1인당 소득증가율 1% 하락은 최근 미국 노동소득분배율 하락을 절반에서 전부 설명한다.

We explore the possibility that a global productivity slowdown is responsible for the widespread decline in the labor share of national income. In a neoclassical growth model with endogenous human capital accumulation a la Ben Porath (1967) and capital-skill complementarity a la Grossman et al. (2017), the steady-state labor share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rates of capital-augmenting and labor-augmenting technological progress. We calibrate the key parameters describing the balanced growth path to U.S. data for the early postwar period and find that a one percentage point slowdown in the growth rate of per capita income can account for between one half and all of the observed decline in the U.S. labor share.

 

핵심 문단은 대충 이 정도.

When we solve for the balanced growth path, we find simple analytical formulas for the long-run factor shares. If we further assume—in keeping with the empirical evidence—that the elasticity of intertemporal substitution is less than one, then the labor share in national income is an increasing function of the rates of capital-augmenting and labor-augmenting technological progress. Therefore, a productivity slowdown of any sort results in a decline in the steady-state labor share. The mechanism operates through optimal schooling choices. When growth slows, the real interest rate falls, which leads individuals to target a higher level of education for a given level of the capital stock. Inasmuch as skills are capital using, this reduces the effective capital to labor ratio in the typical firm, which in turn redistributes income from labor to capital, given an elasticity of substitution less than one.

How important is this redistributive channel quantitatively? To answer this question, we take parameters to match the average birth rate, the average death rate, the rate of labor productivity growth, the internal rate of return on schooling, and the factor shares of the pre-slowdown era in the United States, as well as a conservative estimate of the elasticity of intertemporal substitution. One key parameter remains, which can be expressed either in terms of the composition of technical progress in the pre-slowdown steady state or as a measure of the capital-skill complementarity in the aggregate production function. We are cautious about this parameter, because Diamond et al. (1978) tell us that it cannot be identified from time series data on inputs and outputs, while our formula tells us that it plays a central role in our quantitative analysis. We consider a range of alternatives, including some derived from estimation of the cross-industry and cross-regional relationships implied by our model. In all of the alternatives we consider, a one percentage point slowdown in secular growth implies a substantial redistribution of income shares from labor to capital, representing between one half and all of the observed shift in factor shares in the recent U.S. experience.

In this setting, if human capital is more complementary with physical capital than with raw labor and if the elasticity of substitution between physical capital and labor is less than one (holding constant the level of schooling), then the rate of labor productivity growth and the share of labor in national income will be positively correlated across steady states. Accordingly, a slowdown in productivity growth—such as has apparently occurred in the recent period—can lead to a shift in the functional distribution of income away from labor and toward capital. The mechanism requires a fall in the real interest rate, which has also been part of the recent experience. When the interest rate falls relative to the growth rate of wages, individuals target a higher level of human capital for any given size of the capital stock and state of technology. When human capital is more complementary to physical capital than to raw labor, the elevated human capital target implies a greater relative demand for capital. With an elasticity of substitution between capital and labor less than one, the shift in relative factor demands generates a rise in the capital share at the expense of labor. Moreover, if the productivity slowdown is associated with a deceleration of declining investment-good prices or with a fall in the rate of disembodied capital-augmenting technical progress, then the model predicts a slowdown in the annual expansion of educational attainment, which also matches the data in recent economic history.

Finally, we have focused in this paper on exploring a potential explanation for recent trends in the labor share. But it is possible that our story holds broader sway in economic history. Figure 7 shows the evolution of the labor share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since the beginning of the twentieth century and the evolution of labor productivity in each country over the same period. Evidently, these two variables have been temporally correlated throughout modern history. For example, the period from 1900 until approximately 1930 was a period of slow productivity growth in the United States and United Kingdom. It was also a period of an historically low labor share. When productivity growth subsequently accelerated, the labor share rose in tandem. While we are cautious about drawing firm conclusions from such casual observations, it is possible that productivity growth and the functional distribution of income have been linked for quite some time.

 

Massive Paper Release: NBER

이번 주에 릴리즈된 NBER 워킹 페이퍼는 무려 47편이나 된다. 언제나처럼 흥미로운 페이퍼가 많은데 이 페이퍼가 특히 눈길을 끈다. 제목을 옮기면 “재화·노동시장 통합: 유럽연합 확대의 파급효과 양적평가” 정도 된다. 초록만 간단히 읽었는데,

2004년 EU에 10개 국가가 추가로 가입하면서 무역과 노동이동이 활발해졌다. 저자들은 이 역사적 사실로부터 시장개방이 재화시장과 노동시장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일반균형분석했다. 신규 가입국이 통합의 과실을 가장 많이 얻었으며, 그 중에서도 이들 국가의 비숙련 노동자들이 최대 수혜자였다고 한다.

무역과 노동을 묶어서 보는 실증분석 페이퍼가 꽤 나오는 것 같은데, 이 논문은 거시모형 설계 단계부터 요소시장과 재화시장을 묶어서 분석했다는 점이 흥미롭다. 본문은 30페이지 좀 넘는 수준으로 길지 않다. 부록이 30페이지인건 함정. …하지만 경제수학 숙제를 해야 하는 관계로 자세히 읽어 보진 못할 듯 ㅠㅠ

The Uptick in Income Segregation: Real Trend or Random Sampling Variance (NBER w23656)

Logan, J. R., Foster, A., Ke, J., & Li, F. (2017). The Uptick in Income Segregation: Real Trend or Random Sampling Variance (No. w23656).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소득 양극화 심화 추세가 지역 통계 sampling rate 변화(15% → 5%)의 영향일 수 있다는 NBER 워킹 페이퍼. local area의 소득 추정치는 sampling rate의 영향에 민감하다는 점을 기존 추정치들이 간과했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과거 인구총조사 자료를 이용해 동일한 모집단에 대해 sampling rate 변동에 따라 소득 양극화 양태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보였다.

저자들은 양극화 추세가 환상이라고까지는 안 하겠다고 쓴다. 그런데 그 문장을 굳이 쓴 이유가 뭘까? ^^.. 흥미롭게도 저자 네 명 중 한 명만 경제학자다. 한 명은 사회학자, 두 명은 통계학(생물통계학)자다.

보완할 점도 있어 보이지만 생각해 볼 만한 연구다. 특히 통계청이 인구총조사를 전수조사에서 샘플링 방식으로 바꾼 지금, 한국에 시사점이 있는 페이퍼라고 본다. (내가 아는 한 인구총조사 자료로 소득양극화를 계산하지는 않는다. 가계복지금융조사 같은 자료 표본추출률이 어떻게 되는지 모르겠다.)